/
업데이트와 패치

업데이트와 패치


보안을 위해 권고하는 사항중 하나는 보안 패치와 업데이트를 수시로 해주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운영 환경에서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보안 패치는 관리자들이 매우 꺼려하며 이는 패치를 설치하면 잘 도는 서비스가 중지하는 등의 불확실성이 발생할지 모른다는 우려때문입니다.


사실 보안 패치도 SW 이므로 버그가 있을 수 있으며 패치는 시급하게 나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반적인 변경보다 꼼꼼히 테스트하기 어렵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는 지극히 타당한 지적입니다.

특히 커널 패치의 경우 시스템을 재구동해야 효과가 발생하며 glibc 같은 시스템 라이브러리나 openssl 같은 핵심 라이브러러는 서비스 데몬을 재구동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습니다.


보안 패치를 설치할 때 특히 중요한 프로세스는 여러 대의 장비가 있을 경우 패치와 재시작등 일련을 작업을 특정 장비에서 진행하고 결과를 확인한 후에 다른 장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동시에 모든 시스템에 패치 설치와 재시작 작업을 할 경우 혹시 패치내에 버그가 있을 경우 곤란해 지므로 꼭 패치를 설치할 장비를 선정해서 진행하고 이를 다른 장비와 비교해서 추적/관리해야 합니다.


이번 장에서는 패치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예전의 환경으로 되돌릴 수 있는 yum 패키지 관리자의 고급 기능인 트랜잭션/롤백 기능과 패치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yum-cron 으로 정해진 시간에 패치를 미리 다운로드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이 책은 리눅스 시스템 관리를 다루지 않으므로 yum 의 기본적인 사용법은 생략하겠습니다. yum 사용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은 독자들은 https://www.lesstif.com/x/xgEWAQ 를 참고하세요.

Ref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5547&mkind=1&kind=1
패치 잘못하면 뭔가가 멈출 수 있다는 위험부담 때문에 패치를 기업 차원에서 관리하는 곳도 많다. 


Related content

사용하는 PHP 패키지의 취약점 여부를 진단해 주는 Security Advisories Checker
사용하는 PHP 패키지의 취약점 여부를 진단해 주는 Security Advisories Checker
More like this
보안에 취약한 서비스 사용 중지
보안에 취약한 서비스 사용 중지
More like this
정보 보안 개요
정보 보안 개요
More like this
two factor 인증 사용하기
two factor 인증 사용하기
More like this
오픈소스 프로젝트
오픈소스 프로젝트
More like this
워드프레스 보안 강화하기
워드프레스 보안 강화하기
More like this